안녕하세요 안준범입니다.
오늘은 눈썹문신에 참고해야 할 눈관상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합니다. 총38가지 눈모양입니다. 눈모양을 최대한 알아볼 수 있게 그림으로 표현하고 싶었지만 뜻대로 잘 되진 않았습니다. 앞에서 포스팅한 눈썹관상과 참고하면 좋습니다. 눈썰미 있으신 분들은 눈관상을 금방 알아볼 수 있을 거라 생각하고 포스팅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눈
왼쪽 눈은 해에 비유하며 아버지를 상징한다. 오른쪽 눈은 달에 비유하며 어머니를 상징한다.눈관상에서 정신이 맑다면 눈이 선하고, 탁하다면 눈이 악하다. 눈은 길고 깊으며 윤택한 빛이 나면 좋다. 눈동자가 짙은 검은색을 띠면 총명하고 문장력이 뛰어난 큰 인물이 될 수 있다. 눈관상에서 눈이 불타는 듯 빛나면 부자가 될 수 있다. 가늘고 깊은 눈은 가졌다면 장수하고, 관리자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1. 용안(龍眼)
극히 귀한 관직에 오른다(官居極品).
용의 눈이다. 눈꼬리에 긴 주름이 있고, 눈이 크다. 흰자위와 검은자위의 흑백이 분명하면 정신이 맑다고 본다. 용의 눈을 지닌 사람은 반드시 부와 명예를 얻게 된다. 고위 공직에 올라 국가를 위해 일하는 경우도 많다.
2. 봉안(鳳眼)
총명함이 남을 능가한다(聰明超越).
봉황의 눈이다. 눈꼬리가 길며, 눈빛이 맑고 수려하다. 봉안을 지닌 사람은 총명하고 지혜롭다. 사람들이 저절로 따르고, 명예를 얻는다. 어떤 무리에서든 재능을 발휘하여 두각을 나타낸다.
3. 후안(猴眼)
일생 근심이 많다(一生多濾).
원숭이의 눈이다. 눈동자가 유난히 검고, 눈꼬리의 주름이 가지런하다. 사람을 볼 때 올려다본다. 의심과 질투가 많다. 이러한 상이 뚜렷하게 보인다면 부와 명예를 얻는다. 약삭빠르기 때문에 이름을 날릴 수 있으나 인재는 못 된다.
4. 구안(龜眼)
처음부터 끝까지 복을 누린다(始終享福).
거북이의 눈이다. 눈동자가 둥글고, 가는 주름이 많다. 편안하고 건강하며 재물 또한 충분하다. 자손까지 이어진다.
5. 상안(象眼)
복과 수명이 이어진다(福壽延年).
코끼리의 눈이다. 수려하며 눈 위아래로 주름이 있다. 눈이 가늘고 주름 또한 길다. 어질고 온화하며, 때가 되면 부와 명예를 얻게 된다. 수명이 길고 삶이 평탄하다.
6. 작안(鵲眼)
발달하여 부귀하게 된다(發達富貴).
참새의 눈이다. 눈 위의 주름이 길고 수려하다. 이런 눈을 가진 사람은 마음이 깨끗하고 욕심이 없다. 의리가 있고 믿음직하며, 평생 성실하게 산다. 끝까지 일이 잘 풀리며 번창하게 된다.
7. 사안(獅眼)
충성스럽고 효성스러우며 정조가 있다(忠孝貞廉).
사자의 눈이다. 눈이 크고 위엄이 있으며, 거만해 보이기도 한다. 눈썹이 분명하고 숱이 많으며, 눈과 같이 길고 가지런하다. 사안을 가진 사람은 남의 것을 탐하지 않는다. 인정이 많아 나누는 것을 좋아한다. 삶이 평안하고 부귀영화를 누리며, 수명 또한 길다.
8. 호안(虎眼)
매우 부귀하다(非常富貴).
호랑이의 눈이다. 눈이 크며 눈동자가 황금색을 띤다. 의지가 강하고 굳세며 신중하다. 근심 걱정과 거리가 멀다. 부와 명예를 얻는다. 단, 자식운이 좋지 않다.
9. 우안(牛眼)
곡식이 썩을 만큼 많다(粟陣貫朽).
소의 눈이다. 눈이 크고 눈동자가 둥글다. 무엇을 보고 있는 것인지 파악하기 어려운 눈빛을 가졌다. 재물이 많고 부족함이 없다. 수명이 길고, 평생 좋은 운이 이어진다.
10. 공작안(孔雀眼)
남편은 가정을 화목하게 하고 부인이 그에 따른다(夫和婦順).
공작의 눈이다. 눈 위에 주름이 있으며, 눈동자가 검고 눈빛이 밝다. 눈두덩에 푸른빛이 많고, 흰자가 탁하다면 흉하다. 공작안을 가진 사람은 청렴하고 어질다. 배우자를 진심으로 사랑하는 마음을 지녔다면, 하는 일이 잘 풀려 명예를 얻고 이름을 날린다.
11. 원앙안(鴛鴦眼)
부유하면서 음란하다(富而且淫).
원앙의 눈이다. 눈이 둥글고 수려하며 약간 드러나 도화를 지녔다. 눈동자는 윤택한 홍색을 띤다. 눈 주변에 작은 점이 있다. 부부간에 사이가 좋고, 부와 명예도 따른다. 단, 음란한 것이 흠이다.
12. 명봉안(鳴鳳眼)
고상한 뜻이 현달하게 된다(志高顯).
우는 봉황의 눈이라는 뜻이다. 눈 위 주름이 분명하다. 눈을 크게 떠도 반짝이지 않아 총명해 보이지 않는다. 중년이 되면 운이 점차 좋아져 집안을 명예롭고 풍족하게 한다.
13. 수봉안(睡鳳眼)
온유하고 공명정대하다(溫柔正大).
졸린 듯한 봉황의 눈을 말한다. 눈빛이 반듯하며 곁눈질하지 않는다. 용모가 수려하고, 웃음을 머금은 듯 온화하다.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의견을 존중한다. 부와 명예가 남들이 알아줄 만큼 충분하다.
14. 서봉안(瑞鳳眼)
온화하고 흔들림이 없다(和而不流).
상서로운 봉황의 눈을 말한다. 양쪽 눈이 또렷하고 가지런하다. 눈 주변의 주름이 길고 수려하다. 눈을 움직여도 총명함을 유지하며 계속 반짝인다. 문장력이 뛰어나며, 공직에서 일하게 될 수 있다.
15. 안안(鴈眼)
의로움이 옥을 쌓는 듯하다(義氣蘊玉).
기러기의 눈이다. 눈동자가 검으면서도 금황색을 띤다. 눈 위아래에 주름이 있고, 길이가 일정하다. 공직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다. 형제간에 우애가 좋다.
16. 음양안(陰陽眼)
부유하지만 속임이 많다(富而多詐).
양쪽 눈 크기가 다른 경우를 말한다. 두 눈의 크기가 다르니 눈동자의 크기도 다르다. 정신은 밝으나 곁눈질을 자주 한다. 언행일치를 못해 성실하지 않다고 평가된다. 간사한 행동으로 부를 얻는다.
17. 관형안(觀形眼)
중년에 현달하고 발탁된다(中年顯擢).
황새의 눈이다. 눈 위에 주름이 길고 수려하게 자리한다. 눈의 흑백과 눈동자가 분명하다. 곁눈질로 상대를 바라보지 않는다. 현명하여 큰 명예를 얻고 영화로운 삶을 산다.
18. 아안(鵝眼)
자선을 베풀어 경사가 있다(慈善有慶).
거위의 눈이다. 여러 개의 수려한 주름이 이마 모서리 쪽을 향하고 있다. 사물을 바라보는 눈빛이 분명하고 총명하다. 흰자위는 적고 검은자위가 크다. 마음이 선하며, 늙어서까지 편안한 삶을 산다.
19. 도화안(桃花眼)
교태를 부려 범상치 않다(嬉媚無常).
복숭아 꽃의 눈이라는 뜻으로 도화살과 관련이 깊다. 남녀를 막론하고 도화안은 좋지 않다. 어떤 사람을 만나든지 웃음이 헤프기 때문이다. 눈이 항상 촉촉하게 젖어 있다. 곁눈질로 보는 것을 즐긴다.
20. 취안(醉眼)
성사되는 일이 없다(百事無成).
취한 듯한 눈을 말한다. 눈동자가 홍색과 황색이 섞인 듯한 색을 띤다. 눈빛이 흔들려 술이 취한 듯 하고, 남을 속이려는 마음이 있다. 여자가 취안이라면 음란하고, 남자라면 수명이 짧다.
21. 학안(鶴眼)
지기가 높고 맑다(志氣高明).
학의 눈이다. 눈이 수려하고 정신이 맑다.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공정하다. 신기가 감추어져 드러나지 않고 공명을 이룬다. 지기가 떳떳하고 높으며 부귀영화를 누린다.
22. 양안(羊眼)
중년에 조업을 파한다(半世破祖).
양의 눈이다. 눈동자가 흐려 약간 황색을 띤다. 눈빛이 밝지 않고, 사람을 바라볼 때 눈동자가 혼탁하다. 집에 재산이 많아도 중년이 되면 가난해진다.
23. 어안(魚眼)
빨리 죽도록 기한이 정해져 있다(速死爲期).
물고기의 눈이다. 눈동자가 드러나 혼탁하다. 또한 총명하지 않고 초점이 없다. 이러한 눈을 지닌 사람은 수명이 짧다.
24. 마안(馬眼)
가난하고 고생스러움이 끝이 없다(貧苦無終).
말의 눈이다. 피부가 두터워 눈동자가 삼각으로 드러난다. 근심이 없어도 눈 아래가 젖어 있다. 얼굴에 살이 없고, 피부는 팽팽하게 당긴 듯하여 한탄스럽다. 쉴 틈 없이 바쁜 삶을 살며, 배우자와 자식을 극할 수 있다.
25. 저안(猪眼)
죽어서 반드시 시신이 분해된다(死必分屍).
돼지의 눈이다. 눈동자가 몽롱해 보이며, 흰자위가 혼탁하다. 눈에 주름이 두툼하고 살집이 많다. 이러한 눈을 가진 사람은 포악한 성정을 가졌다. 부와 명예는 있을지 모르나 재앙을 피하기 어렵다. 범죄를 저지를 수 있다.
26. 사안(蛇眼)
윤리가 없고 의기도 없다(無倫悖義).
뱀의 눈이다. 눈동자가 붉고 동그랗게 드러나며 붉은 실핏줄이 있다. 이러한 눈을 가진 사람은 간사하고 독하다. 부모를 때릴 수도 있는 상이다.
27. 합안(鴿眼)
총명하면 이루는 것이 작다(聰明小就).
비둘기의 눈이다. 눈동자가 누렇고 작은 둑 같이 둥글다. 머리를 흔들고 다리를 떨며, 앉은 자세가 삐딱하다. 남녀를 막론하고 음란하다. 또한 허영심이 많아 실속이 없다.
28. 난안(鸞眼)
부유하다(廣博大富).
난새(중국 전설에 나오는 상상의 새)의 눈이다. 눈이 크고 약간 길며, 코끝이 둥글다. 걸음이 빠르고, 말을 신중하게 한다. 고위 공직에 오르고 크게 성공한다. 군계일학이라 할 수 있다.
29. 낭목흉폭(狼目兇暴)
부유하지만 선종하지 못한다(富無善終).
이리의 눈이다. 눈동자가 누렇고, 눈을 위로 치켜뜨는 버릇이 있다. 탐욕스러우며 성질이 더럽고 흉폭하다. 정신이 어지러울 정도로 슬프고 황당한 일도 꽤 겪는다.
30. 복서안(伏犀眼)
맑고 대귀하다(淸淨大貴).
코뿔소의 눈이다. 눈이 크고 눈썹이 짙다. 복서안을 가진 사람은 귀 안의 털이 길고 머리가 둥글며 몸이 두툼한 편이다. 이러한 사람은 신의가 있고 총명하다. 또한 밝고 사리분간을 잘한다. 큰 부와 명예가 따르고, 고위 공직에 오를 수 있다.
31. 노사안(鷺鷥眼)
청정하지만 빈한하다(淸淨貧寒).
해오라기의 눈이다. 눈동자가 누렇다. 몸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는 편이다. 키가 크고 다리가 가늘며 눈썹이 바르다. 타고난 행동에 거짓이 없고 순진한 성격이다. 이러한 상의 사람은 큰 부자였다 할지라도 가난해진다.
32. 녹목(鹿目)
성급하고 의리가 있다(性急有義).
사슴의 눈으로 눈동자가 검고 눈꼬리가 길다. 걸음이 가볍고 성격은 강직하다. 산에서 산다면 영화롭게 살 수 있다.
33. 웅목(熊目)
반드시 선종하지 못한다(必無善終).
곰의 눈이다. 눈동자가 둥글고 드러나 있다. 이러한 사람은 용감하고 힘이 세다. 반면 흉폭하고 어리석은 면이 있다. 오래 앉아 있지 못하고, 숨소리조차 급할 때가 있다.
34. 하목(蝦目)
조심스럽고 부가 가득하다(操心富盛).
새우의 눈이다. 하목을 가진 사람은 조심스러운 성격을 가졌다. 남을 공경할 줄 안다. 수의 기운이 많은 해에 성공할 수 있다. 나이가 들어 영화로운 삶을 살지만, 수명이 길지 않다.
35. 해목(蟹目)
완고하고 포악하고 불효한다(頑暴不孝).
게의 눈이다. 해목을 가진 사람은 융통성이 없고 고집이 세며, 어리석다. 천성적으로 허풍이 심하고 돌아다니는 것을 좋아한다. 자식에게 존경받지 못하고, 가난하게 산다.
36. 연목(燕目)
자식에게서 힘을 얻지 못하고 의식도 풍족하지 못하다(不得子力不豊食).
제비의 눈이다. 눈은 깊고 흑백이 분명하다. 입술은 붉지만 입이 작고, 코끝이 짧다. 행동에서는 머리를 흔드는 버릇이 있고, 말이 많지만 신의가 있다. 재주는 있으나 밥벌이할 정도이다.
37. 자고안(鷓鴣眼)
주로 부가 후하지 않다(主不厚富).
자고새(꿩과의 새로 메추라기와 비슷하다)의 눈이다. 눈이 붉고 누런 편이다. 얼굴 또한 붉으며 귀가 작고 몸은 왜소한 편이다. 걷는 모습이 당당하지 못하고 바닥을 보며 걷는다. 평생 재물이 넉넉하지 않다.
38. 묘목(猫目)
귀는 가깝고 부는 숨어 있다(近貴隱富).
고양이의 눈이다. 눈동자가 누렇고 얼굴이 넓고 둥글다. 온순한 성격으로 능력과 재주가 있어 일을 잘한다. 오래 사귄 친구들이 어여삐 여기는 유형이다.